🎭 2025 청년문화예술패스 & 서울청년문화패스 총정리
문화생활이 부담스러운 청년들을 위해 정부와 서울시가 각각 지원하는 ‘청년문화예술패스’와 ‘서울청년문화패스’가 2차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전국 청년과 서울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두 제도는 지원 대상과 금액, 사용처가 다르므로 본인에게 맞는 패스를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요약 핵심 정보
📅 청년문화예술패스: 2025.07.07 ~ 11.30 (전국 19세 청년 대상)
📅 서울청년문화패스: 2025.08.07 ~ 08.21 (서울 20~23세 청년 대상)
💰 지원금: 10~15만 원 (전국) / 20만 원 (서울)
🏛️ 신청처: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 청년몽땅정보통
📅 청년문화예술패스: 2025.07.07 ~ 11.30 (전국 19세 청년 대상)
📅 서울청년문화패스: 2025.08.07 ~ 08.21 (서울 20~23세 청년 대상)
💰 지원금: 10~15만 원 (전국) / 20만 원 (서울)
🏛️ 신청처: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 청년몽땅정보통
🎫 “지금 바로 패스 신청하러 가기”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바로가기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바로가기
🎨 청년문화예술패스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19세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관람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공연·전시·무용·클래식 등 순수예술 분야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지원 대상: 2006년생(만 19세) 대한민국 청년 총 16만 명
- 💰 지원 금액: 1인당 연 10~15만 원 (국비 10만 원 + 지방비 최대 5만 원)
- 🕒 사용 기간: 발급일 ~ 2025년 12월 31일
- 🏢 사용처: 연극, 뮤지컬, 국악, 클래식, 발레, 미술전시 등 (대중콘서트·영화·테마파크 제외)
- 📱 예매처: NOL 티켓, YES24 중 선택 (발급 시 1회 선택, 변경 불가)
💳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하기”
공식 신청 페이지
🌆 서울청년문화패스 (서울시)
서울에 거주하는 20세~23세 청년(2002~2005년생)에게 연 20만 원의 문화관람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며, 공연·전시뿐 아니라 독립예술영화 관람도 가능합니다.
- 👥 지원 대상: 서울 거주 20~23세 청년 (2002~2005년생)
- 💵 지원 금액: 연 20만 원
- 📅 2차 모집 기간: 2025.08.07(수) 10:00 ~ 08.21(목) 17:00
- 🧾 지원 규모: 약 6,000명 추가 선발 예정
- 📍 신청 경로: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
- 📈 소득 기준: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 🎖 의무복무 제대군인 연령 가산: 복무기간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연령 가산 가능
🗳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 바로가기”
청년몽땅정보통 신청 페이지
📊 두 패스의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 | 청년문화예술패스 | 서울청년문화패스 |
---|---|---|
운영 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서울시 / 서울문화재단 |
지원 대상 | 2006년생 (만 19세) | 2002~2005년생 (20~23세) |
거주지 | 전국 | 서울 |
지원 금액 | 최대 15만 원 | 연 20만 원 |
사용처 | 공연·전시 등 순수 예술분야 | 공연·전시 + 독립예술영화 |
소득 기준 | 없음 | 중위소득 150% 이하 |
특이사항 | 예매처 변경 불가 | 의무복무자 연령 가산 제도 도입 |
📖 “서울·전국 청년 지원제도 비교표 자세히 보기”
서울시 공식 페이지 이동
📞 문의 및 고객센터
- 🎫 청년문화예술패스 콜센터: 1577-1968 (월~금 09:00~18:00, 점심 12:00~13:00)
- 🏙 서울청년문화패스 콜센터: 1533-3427
- 💻 청년문화예술패스 누리집: youthculturepass.or.kr
- 💻 청년몽땅정보통: youth.seoul.go.kr
💡 “문화생활의 시작,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청년문화예술패스 바로가기
서울청년문화패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