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인구주택총조사 & 주민등록 사실조사] 일정·참여방법 완벽 정리
2025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두 가지 대규모 국가조사가 시작됩니다. 바로 인구주택총조사와 주민등록 사실조사입니다. 두 조사는 국가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모든 국민이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중요한 행정 절차입니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 2025년 7월 21일 ~ 11월 26일
💻 참여 방법: 인터넷, 모바일, 전화 또는 방문조사
⚠️ 미참여 시: 최대 100만원 과태료 (통계법 제25조)
🏠 2025 인구주택총조사 개요
인구주택총조사는 대한민국의 인구, 가구, 주택의 규모와 분포, 생활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정부 정책과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 국가 통계조사입니다. 올해 조사는 표본조사로 진행되며, 전국 가구의 약 20%가 조사 대상입니다.
| 구분 | 내용 |
|---|---|
| 조사 기간 | 2025년 10월 22일 ~ 11월 18일 |
| 사전조사 | 10월 22일 ~ 10월 31일 (인터넷·전화 참여) |
| 방문조사 | 11월 1일 ~ 11월 18일 (조사원 면접) |
| 대상 | 국내 상주 내·외국인 및 거주 장소 |
| 조사기관 | 통계청 |
💡 참여 방법 —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이번 조사는 비대면 참여 비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공됩니다. 모바일, PC, 전화 중 가장 편한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 번호는 조사 안내문을 통해 개별 발송됩니다.
- 📱 모바일 참여: 문자로 받은 링크 또는 QR코드 스캔 후 즉시 접속
- 💻 PC 참여: 인구총조사 홈페이지 접속 → 참여번호 입력
- ☎️ 전화 참여: 전용 콜센터(080-2025-020)로 전화 후 응답
- 🏠 방문조사: 미참여 가구 대상 조사원 방문 면접
또한, 외국인 거주자를 위한 20개국 다국어 설문과 AI 기반 24시간 상담 콜센터도 운영됩니다.
조사 참여 가이드 자세히 보기📈 신규 조사 항목 — 더 깊어진 국민 생활 데이터
2025년 인구총조사는 시대 변화에 맞춰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되었습니다. 가정, 사회, 주거환경에 관한 세밀한 정보를 파악해 국가의 복지·주거·교육 정책에 반영될 예정입니다.
- 🕒 가족돌봄시간
- 💬 가구 내 사용 언어 및 한국어 실력
- 💍 비혼동거·결혼 계획 의향
- 🏠 임대주체 및 거주 형태
- ⛪ 종교 조사 (10년 주기 재조사)
반면, 출산자녀 수나 출산 시기 등은 행정자료를 통해 대체되어 국민의 응답 부담을 줄였습니다.
2025 조사 항목 전체 보기🏡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 실거주지 확인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 주소와 실제 거주지를 일치시키기 위한 국가 조사입니다. 2025년 조사는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되며, 비대면 조사와 방문 조사를 병행합니다.
| 구분 | 조사 내용 |
|---|---|
| 비대면 조사 | 7.21 ~ 8.31 / 정부24 앱을 통해 GPS 기반 인증 |
| 방문 조사 | 9.1 ~ 10.23 / 이·통장 및 공무원이 직접 방문 |
| 중점 조사 대상 | 고령자, 거주불명자, 복지취약계층 등 |
| 활용 | 복지 사각지대 발굴, 주택·과세·선거 행정 개선 |
📢 자진 신고 및 과태료 경감 혜택
조사 기간 중 주소 변경 등 주민등록 사항을 자진 신고하면 과태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의적 불참 또는 허위 신고 시에는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 자진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