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1일부터 바뀐 항공기 보조배터리 안전 규정
국토교통부는 2025년 9월 1일부터 보조배터리 기내 안전관리 방안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국토교통부가 올해 1월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기내 화재 사건을 계기로 마련한 것으로, 비닐봉투 배포 중단, 절연테이프 제공, 화재 진압용 보관백 설치, 온도 감지 스티커 도입 등이 주요 변화입니다.
📌 주요 변경 사항
|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
| 보조배터리 포장 | 비닐 지퍼백 무료 제공 | 절연테이프 제공, 개인 파우치 사용 허용 |
| 기내 화재 대응 | 소화기만 비치 | 화재 격리 보관백(Fire Containment Bag) 최소 2개 비치 |
| 온도 감지 | 미도입 | 수하물 선반 외부에 온도 감지 스티커 부착 |
| 승무원 교육 | 기본 소화 훈련 | 실제 소화기 훈련 + 화재 상황 매뉴얼 강화 |
🔥 화재 대응 강화
국내 항공사들은 모든 여객기에 화재 격리 보관백을 최소 2개 이상 탑재해야 합니다. 이는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에 불이 날 경우, 초기 진화 후 기기를 안전하게 격리하여 화재 확산을 막는 장비입니다. 미국 아메리칸항공 역시 유사한 장비를 활용해 비행 중 화재 사고를 막은 사례가 있습니다.
🌡️ 온도 감지 스티커 도입
기내 수하물 선반에는 온도 반응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선반 내부 온도가 40도를 넘으면 스티커 색이 빨갛게 변해 승무원들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만 일부 승객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보조배터리는 원래 선반에 올리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기존과 동일하게 보조배터리 반입은 100Wh 이하 최대 5개까지만 허용됩니다. 예외적으로 의료용 기기 등 특별한 경우에 한해 별도 승인이 가능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A. 네, 9월 1일부터는 비닐봉투 제공이 완전히 중단되었습니다. 대신 절연테이프가 제공됩니다.
A. 가능합니다. 충전 단자를 덮어 합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면 개인 장비 사용도 허용됩니다.
A. 승무원들은 실제 소화기를 활용한 훈련을 정기적으로 받고 있으며, 보관백을 이용해 격리 조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