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방법 | 정부24 비대면 신청 총정리, 주의할 점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방법 | 정부24 비대면 신청 총정리

🏠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방법 총정리

행정안전부2025년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전국적으로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합니다. 이번 조사는 주민등록지와 실제 거주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국민에게 보다 정확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진행되는 국가 차원의 중요한 조사입니다.

특히 올해는 정부24 앱을 통한 비대면 조사 참여 방식이 확대되어 국민 누구나 집에서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취약계층 보호라는 중요한 목적도 포함되어 있어 단순한 주소 확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 개요

  • 조사 기간: 2025년 7월 21일 ~ 11월 26일
  • 조사 대상: 대한민국 전 국민(주민등록 보유자)
  • 조사 목적: 주민등록지와 실제 거주지 일치 여부 확인, 복지 사각지대 해소, 행정 서비스 효율화
  • 추진 배경: 실제 거주지와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다르면 행정 지원 누락·복지 지원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함

📱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기간: 2025년 7월 21일 ~ 8월 31일
참여 방법: 정부24 앱 접속 → 비대면 사실조사 배너 클릭 → 본인인증(GPS 인증 필수) → 세대 정보 확인 및 제출

비대면 조사는 정부24 모바일 앱을 통해서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PC 환경에서는 참여가 불가능하며, 반드시 주민등록상 주소지 반경 50m 이내에서 휴대폰 GPS 기능을 활성화한 뒤 참여해야 합니다.

  • 간편인증,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등 다양한 인증 수단 사용 가능
  •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경품 이벤트 제공 (7월 21일 ~ 8월 18일)
  • 허위 신고·참여 거부 시 최대 50만 원 과태료 부과
  • 잘못 신고 시 수정이 불가하므로 주의 필요

👥 방문 조사

조사 기간: 2025년 9월 1일 ~ 10월 23일
조사 대상: 비대면 조사 미참여 세대 및 중점 관리 세대

방문 조사는 비대면 참여가 어려운 세대, 100세 이상 고령자,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사망 의심자, 복지 취약계층 등이 대상입니다. 조사원은 반드시 공식 조사원 증명서를 소지하므로 방문 시 이를 확인해야 합니다.

⚠️ 참여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소지 불일치로 인해 복지 혜택에서 제외되거나 행정 서비스에 제약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간 내 참여가 필요합니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꿀팁

  • 비대면 조사는 자택 내 Wi-Fi & GPS를 켜고 참여해야 오류가 적습니다.
  • 주소지가 부모님 댁이지만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 반드시 사실대로 기재해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 비대면 참여가 어려운 경우, 주민센터를 통한 자진 신고로 참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태료가 경감됩니다.
  • 조사 기간 중 이사를 하게 된 경우, 새로운 주소로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정부24 앱이 없으면 참여가 불가능한가요?

비대면 조사는 정부24 앱 전용입니다. 앱 설치가 어렵다면 방문 조사에 응하거나 주민센터에서 자진 신고해야 합니다.

Q. 과태료는 어떤 경우에 부과되나요?

참여 거부·기피 또는 허위 신고 시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 이벤트 혜택은 어떻게 주어지나요?

7월 21일~8월 18일 기간 내 비대면 조사에 참여한 국민 중 추첨을 통해 소정의 경품이 제공됩니다.

📌 결론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단순히 주소를 확인하는 절차가 아닌,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행정 효율화 및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정부24 앱을 통한 비대면 참여가 확대된 만큼, 집에서도 간편하게 조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번 기회에 반드시 참여하시길 권장합니다. 또한 취약계층을 위한 보호 장치이기도 하므로, 주변 가족이나 이웃에게도 참여를 안내하면 좋습니다.

📲 정부24 앱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