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확대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확대 (2025)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 확대 안내

정부는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지급되는 부담경감 크레딧의 사용처를 기존 7개에서 총 9개 항목으로 확대했습니다. 이제 전기·가스·수도 요금, 4대 보험료는 물론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부담경감크레딧 공식 신청 페이지

📌 확대 배경

그동안 집합건물 입주 소상공인은 관리비에 공과금이 포함되어 크레딧 사용에 제약이 있었으며, 필수 비용인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 사각지대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지원 범위를 넓힌 것입니다.

📌 기존 & 추가 사용처

  • 기존 7개: 전기요금, 가스요금, 수도요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추가 2개: 통신비(유·무선 전화, 인터넷 요금 등), 차량 연료비(휘발유, 경유, 수소 등)

💰 지원 조건 및 신청

- 대상: 2024~2025년 매출 0원 초과 ~ 3억 원 이하,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 소상공인
- 제외: 유흥업, 사행성 업종 등 일부 업종
- 지원 금액: 최대 50만 원 (디지털 포인트)
- 신청 기간: 2025년 7월 14일 ~ 11월 28일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 사용 기간: 지급일 ~ 2025년 12월 31일 (미사용 시 자동 소멸)
- 신청 방법: 부담경감크레딧.kr 또는 소상공인24 홈페이지

⚠️ 유의사항

  • 통신비·차량 연료비는 2025년 8월 11일부터 사용 가능
  • 카드사별 시스템 오픈 시간 상이 → 8월 11일 오전 9시 이후 사용 권장
  • 아파트 관리비 포함 공과금 사용 불가
  • 사업주 본인 명의 카드만 가능 (가족카드·선불/기프트카드 불가)
  • 한번 등록된 카드 변경 및 취소 불가

🌍 결론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은 고정비 절감을 돕는 제도로, 이번 사용처 확대는 더 많은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청은 부담경감크레딧.kr중소벤처기업부 공식 안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Tip: 크레딧은 반드시 연내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시 자동 소멸되므로 계획적인 사용이 필요합니다.